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31일차, 주장-근거 요약하기

학문의 세계에서 ㅅ의심이 필요한 이유- 우리가 갖고 있는 많은 지식이나 믿음이 검증되지 않은 채 관습적으로 습득되기 때문

 

 

제시문 5, 미하이 칙센트미하이는 창의적인 사람은 다양한 사고와 행동을 한다고 주장하며, 그 근거로 30년 동안  인터뷰한 다양한 분야의 창의적인 사람들의 공통점을 들었다. 

 

=> 반박, 

제시문 6, 어떤 집단이 세운 평가 방법에 따라, 사람들의 공부방식과 학습능력이 변화하며 사회가 중요시 하는 가치를 만들어가기 때문에, 올바른 평가방식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근거 1. 우리나라의 평가는 대부분 단답형 문제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답을 맞추는 기계식 학습 방법이 만연해 있다.

근거2. 과제를 이용해 생각을 묻는 평가를 실행하면, 생각하는 사람을 길러 낼 수 있다.

 

=>반박,

동 제시문은 합당한 주장을 펼치고 있다. 평가 방법에 따라 그 사회가 중요시하는 가치를 알 수 있다. 각 나라의 대학 입학 시험을 살펴보면, 그 나라가 중요시 하는 가치가 무엇인지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학력평가를 수능으로 바꾼 이유는 과거보다 논리적이고 입체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요구하는 시대상황을 반영하였기 때문이었다. 이처럼 평가 기준은 시대에 달라짐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하고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수능이 도입된지 30여년이 지나도록 아직까지, 서술형 시험으로 전환하지 못한 것에는 분명히 다른 이유가 있다. 서술형으로 생각을 묻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모든이가 다 알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정답이 있을 수 없는 문제를 성적으로 서열화해서 평가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사회적 비용도 문제이지만, 공정성에 대한 시비가 가장 큰 논란거리이다. 만약, AI가 발전해서 우리의 논술 답안지를 획일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나온다면 어떨까? 이런 사회적 환경이 조성된다면, 그때는 아마 가능한 일일지도 모른다. 

 

 

제시문 7, 

 

건축한도들이 건축의 의미를 제대로 알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건축이라는 학문을 세분화 하지 말고 통합 교육을 실행하여야 한다.

 

근거 : 우리의 대학 건축 교육 현실이, 공학과 디자인으로 분절되어 있어 통합적 사고를 기르기 어렵다.

2. 대학이 개별 특성을 잃고, 자격증 취득 중심의 취업 사관학교가 되어있다.